안녕하세요.
타입스크립트를|

공부하는 예슬입니다.

thumbnail
블로그 이사

블로그를 이사했습니다 👩‍🔧👩‍🔧 네이버 블로그 > velog > 개인 블로그 > tistory로 정말 정말 정착! 티스토리 블로그 바로가기

March 16, 2022
ETC
SCRIPT5022 SecurityError

IE11에서 SCRIPT5022 SecurityError 아마 리액트-타입스크립트 프로젝트를 하면서 만나는 수많은 IE의 에러 중 하나 읽어보니 문제는 웹소켓을 로컬 도메인에서 열려고 할 때 생기는 에러라고 한다. ✨ 해결방법 : 인터넷 옵션에 들어가서 보안 관련 항목을 변경해준다 internetoption ✨ 또 다른 해결방법 : 인터넷 옵션에 들어가서 localhost 주소를 추가해준다. internetoption 출처: stackoverflow IE11에서 SCRIPT5022 SecurityError ✨ 해결방법 : ✨ 또 다른 해결방법 :

March 09, 2022
ERROR
리액트 useMemo

useMemo Memoization은 동일한 값을 리턴하는 함수가 있을 때, 해당 값을 메모리에 저장해서 필요할 때마다 재사용 하는 것. 즉, 자주 사용하는 값을 캐싱하는 것.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함수 컴포넌트의 경우 렌더링 될 때 모든 내부의 변수가 초기화 되면서 다시 렌더링하게 된다. valueMemo를 보면 의 구조를 알 수 있다. 두개의 인자를 가지고 있으며, callback 함수와 의존성 배열을 가지고 있다. 의존성 배열을 통해 값을 원하는 순간에만 업데이트 후 다시 저장할 수 있다.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불필요한 값까지 저장하게 된다면 성능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👉 메모리에 값을 저장하는 것이기 때문

March 04, 2022
REACT
useRef()와 useRef() type 설정하기

✨ useRef 은 mutable ref object를 리턴함. reference는 read-only이거나 mutable하다. read-only : 읽기 전용 / mutable : 변경 가능한. ref 객체를 리액트에 전달하면 리액트는 속성에 상응하는 DOM node값을 set한다. 여기서 중요한 것은 는 마운트 될 때 DOM node에 set되고, DOM node가 사라지면 로 변경된다. 즉 useRef()는 초기 값을 그대로 읽거나 혹은 초기 값에서 변경되는 값을 사용한다. useRef()는 언제 사용할까? 📍 옵션 1: DOM Element Ref 주로 useRef()를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는 DOM element를 참조할때이다. 초기 값은 로 설정한다. 이때는 DOM 엘리먼트를 참조하는 것이기 때문에 값은 읽기-전용으로 사용된다. DOM Element를 참조할 때는 어떤 엘리먼트를 참조하는지 type을 지정해준다. >>>> 👉 최대한 자세하게 타입을 지정해준다. 만약…

February 28, 2022
REACT
TYPESCRIPT